일자리 정책을 지원할
일자리통계 개선 방안 발표
- 고품질 통계를 적시에 작성하여 상세하게 제공 - □ 정부는 12월 12일 14시 이용섭 부위원장 주재로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여「일자리통계 개선 방안」을 논의하였다. ㅇ 수준 높은 통계를 적시에 제공하여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에 활용하기 위하여 세부 일자리 정보를 생산한다. □ 일자리 정책의 효과적인 이행과 정책 수행 평가를 위해 빠르고 자세한 일자리 통계를 개발한다. ㅇ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세부 산업별 일자리 변동을 분기별로 작성하는 동향통계를 ‘18년 하반기부터 공표하고, 산업별‧종사자별 일자리이동통계(’19년 시범작성)와 지역별 일자리통계(’20년 시범작성)를 개발한다. - 이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자료를 융․복합한 전체 일자리DB를 구축함에 따라 가능하게 되었다. ㅇ 조사통계인 경제활동인구조사, 사업체노동력조사는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통계적 기법을 통해 공표항목을 보다 세분화한다. □ 저출산․고령화, 일자리 미스매치, 기술 변화 등에 따라 정책 대상별 통계를 확충한다. ㅇ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‘18년에 사회적경제 일자리통계, 중․장년층 통계를 개발하고, 신규 졸업자의 취업 및 직장변동을 분석하는 통계를 ’19년까지 개발한다. □ 또한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을 위해 개발 중인 고용의 질 지표 체계는 고용 안정, 일과 생활의 균형 등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지표로 구성한다. □ 앞으로 통계청에서 구축한 일자리DB에 가구‧주택‧각종 소득 정보를 단계적으로 연계하는 등 활용도를 높이면서 이용자가 심층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. |